똥구멍이 찢어지게 가난했다
농사를 짓던 우리 선조들은 보릿고개로 대표되던 가난을 빗대어 '똥구멍이 찢어지게 가난했다'라고 했다. 왜 하필 가난을 똥구멍이 찢어지는 것에 비유했을까?
사람은 초식동물이 아니라서 섬유질을 분해하는 효소가 없다. 먹을 게 없고 가난한 시절 나물만 먹으면 대장 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덩어리가 굵어지고 물기가 없이 딱딱한 형태로 다 똥으로 나오기 때문에 똥이 되직하게 나오면서 항문이 찢어지는 것이다.
브리스톨 스툴 차트란?
브리스톨 대변 차트는 1997년에 영국 브리스톨 왕립병원(Bristol Royal Infirmary) 내과의사 스티븐 루이스(Stephen Lewis)와 켄 히튼(Ken Heaton)이 제안했다.
대변을 모양에 따라 7개의 유형으로 분류한 의학적 진단 도구이며 대변의 상태를 평가하고 장 관련 치료 효과 판정에 사용한다.
이 차트는 의료 전문가들에 의해 사용되지만 배변을 모니터링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훌륭한 도구이다.
건강한 장이란?
매일 규칙적으로 변을 보는 것이 규칙적인 장의 활동 혹은 정상적인 장 기능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실제 장의 규칙적인 정상활동은 모양이 좋은 변이 부드럽게 나오고 하루에 1~3번 혹은 일주일에 3번 정도 배변 하는 것을 의미한다.
장은 보통 식후(통상 아침식사) 30분이 지나면 비우고 싶어 하지만 배변 시간과 주기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규칙적인 배변활동만큼 이상적인 배변 습관은 아래와 같다.
- 배변 신호가 왔을 때 잠시만 참는다.
- 변기에 앉은 후 1분 이내에 배변을 한다.
- 고통없이 쉽게 배변을 해야 한다. (= 과도하게 힘을 주지 않는다.)
- 배변할 때 장을 깨끗하게 비운다.
배변 관리가 잘 안 되는 것은 생각보다 흔한 현상이다. 남녀를 불문하고 약 20명 중 1명은 배변 조절이 잘 되지 않는다. 나이가 들수록 더 흔하지만 젊은 사람들도 예외는 아니다.
장 조절이 잘 안 되는 사람의 경우 방광 조절이 잘 안돼 소변이 새는 요실금이 있을 수 있다.
브리스톨 스툴 차트의 7가지 대변 유형
브리스톨 스툴 차트에서는 대변을 아래와 같이 7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 Type 1. 심한 변비(severe constipation) : 분리된 딱딱한 덩어리 모양
- Type 2. 가벼운 변비(mild constipation) : 덩어리가 많고 소시지 같은 모양
- Type 3. 정상(normal) : 표면이 갈라진 소시지 모양
- Type 4. 정상(normal) : 매끈하고 부드러운 소시지나 뱀 모양
- Type 5. 섬유질 부족(lacking fibre) : 가장자리가 깨끗하게 잘린 매끈한 덩어리
- Type 6. 가벼운 설사(mild diarrhea) : 가장자리가 뭉개지고 으깨진 모양
- Type 7. 심한 설사(severe diarrhea) : 단단한 건더기가 하나도 없이 물 같은 형태
대변 유형에 따른 건강 상태
Type 1,2 : 토끼똥 같은 딱딱한 대변은 섬유질과 수분 부족에서부터 과민성 장 증후군과 파킨슨병과 같은 위장 질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원인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약물은 부작용으로 변비를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경우에는 부기와 복통이 동반될 수 있고 배변을 시도할 때 무리하게 힘을 주어 치질로 이어질 수 있다.
Type 3,4 : 미끄덩하고 배출되는 가장 이상적인 정상적이고, 건강한 대변이다. 황금색이라면 금상첨화.
Type 5,6 : 헐렁헐렁한 묽은 똥이다. 섬유질 부족 혹은, 감염이나 다른 질병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5번 변은 위장 질환이 없는 경우에도 발생될 수 있고 경미한 위장 질환을 암시할 수도 있다.
6번 변은 액체 상태가 아니라도 설사로 간주된다. 설사는 종종 바이러스성 또는 세균성 감염에 의해 발생하지만 약물 부작용이나 IBS와 같은 질병의 증상일 수도 있다.
IBS : Irritable Bowel Syndrome (과민성 대장 증후군)
Type 7 : 흔히 물똥이라고 하는 완전히 액체 상태의 설사이다. 이 유형의 경우, 배변을 해야 할 긴급한 필요성을 느낄 수 있고(급똥) 그것을 붙잡지 못할 수도 있다(지림).
설사가 지속되면 탈수나 영양실조에 걸릴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설사는 노로바이러스나 대장균과 같은 바이러스성 또는 세균성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Gardia lamblia와 같은 기생충 감염 또한 물이 많은 설사(물똥)를 유발할 수 있다. 소아지방변증,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도 7번 변을 일으킬 수 있다.
변을 건강하게 하는 음식들
4번 유형처럼 미끄덩한 자태에 황금색 빛이 나는 변을 누기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식이섬유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다. 식이섬유는 위에서 녹지 않으므로 장까지 가서 장을 청소하고 변의 힘을 키우게 된다.
아래는 황금똥을 누는데 도움이 되는 음식 들이다.
- 유제품 : 요구르트, 치즈, 버터
- 곡류 : 현미, 피, 조, 보리, 메밀국수
- 과일 : 사과, 바나나, 건포도, 키위, 감(중앙의 흰 부분은 제외)
- 견과류 : 아몬드, 캐슈너트, 땅콩, 호두, 마카다미아
- 콩류 : 대두, 완두콩, 콩비지, 팥, 청국장
- 해조류 : 녹미채, 미역, 다시마, 김, 큰실말
- 버섯 : 송이버섯, 팽이버섯, 나도팽나무버섯, 잎새버섯
- 채소류 : 호박, 당근, 우엉, 무, 연근
- 서류 : 고구마, 산마, 토란, 타로토란, 감자, 곤약
자신의 똥을 관찰하자
배변을 한 후 꼭 자신의 변을 관찰하자. 똥에 피가 묻었는지, 똥 색깔이나 모양이 달라지진 않았는지 잘 살피는 것이야말로 가장 효과적인 병의 자가진단 방법일 것이다.
똥의 맛에 따른 건강 상태에 대한 포스팅도 기획해보고 싶으나 참고할만한 자료가 있을진 모르겠다.
댓글